top of page

2024년 산업안전보건 관련 안내

  • 작성자 사진: Heim HR
    Heim HR
  • 2024년 11월 27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1월 20일


ree

산업안전보건 관련 이슈 안내드립니다.


1.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위험성 평가 가이드틀


2. 「산업안전보건법」 제47조를 적용받는 연구실의 의미


3. 상시근로자 300명 미만의 사업장에 선임된 안전관리자의 업무 전담 여부


4. 전지 제조·취급업 화재, 폭발사고 대비 안전가이드


5. 「관리감독자 중심 안전보건관리」 가이드



<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위험성 평가 가이드틀>

Ⅰ. 위험성 평가 개요

Ⅱ. 위험성 평가 실시

Ⅲ. 위험성 평가 방법

Ⅳ. 위험성 평가 실습




< 「산업안전보건법」 제47조를 적용받는 연구실의 의미 >

- 상시근로자 5명 이상을 사용하는 연구실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제47조에 따른 안전보건진단 명령을 받지 않아 안전보건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연구실에 대하여 「연구실안전법」 제14조 및 제15조가 적용이 됨


                                                                      해당 링크


< 「산업안전보건법」 제47조를 적용받는 연구실의 의미 >

- 「연구실안전법」 제14조(안전점검의 실시) 및 제15조(정밀안전진단의 실시)가 적용됨

                                                                      해당 링크


< 전지 제조·취급업 화재, 폭발사고 대비 안전 가이드 >

1. 전지 제조·취급업 특징

2. 화재·폭발 사고를 예방하고 대비하려면

3. 전지공장 우수사례

4. 안전한 전지 제조·취급을 위한 10대 수칙




< 「관리감독자 중심 안전보건관리」 가이드 >

1. 안전하고 건강한 일터를 위한 당부의 글

2. 관리감독자 중심 안전보건관리의 중요성

3. 관리감독자 중심 안전보건관리 실천 3단계

4. 관리감독자 중심 안전보건관리 상태점검 및 수준평가

5. 우수 사례

6. 주요 안전관리 활용 OPS




< 2024년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양성교육 교재 >

  1.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 처벌법 등

  2. 사업장의 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앱 설명서

  3. 위험성평가 기법 및 활용

  4. 작업환경측정 및 근로자 건강진단의 이해

  5. 산업재해발생 원인조사 및 통계분석

  6. 방호장치, 보호구 및 진단장비 활용법

  7. 재해사례 및 예방대책으로 보는 안전보건




<중소기업 맞춤형 안전관리, 재해보상 메뉴얼>

1. 3대 사고 예방을 위한 중소기업 핵심 안전수칙

2. 중소기업을 위한 산재보험 길잡이

3. 중소기업을 위한중대재해 예방 자율점검 메뉴얼




< 중소기업을 위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실무>

  1. 기소, 판결 사례로 본 중대재해처벌법 핵심 체크포인트

  2. 중소기업을 위한 중대산업재해 대응 절차서




< 중소기업 사업장 화재폭발 사고 예방 핸드북 >

- 화학사고의 정의

- 화재, 폭발 및 누출 위험 개요

- 화재, 폭발 및 누출사고 예방을 위한 주요 확인사항

- 화재, 폭발, 누출 등 사고사례 및 예방대책(중대산업사고 포함)




< 2024년 온열질환 예방가이드 >

1) 온열진환예방 퀵가이드(실내, 실외)

2) 온열질환 예방 자율점검표

3) 온열질환예방가이드






< 장마철 제조현장 안전보건 길잡이 >

1) 장마철이란?

2) 제조·서비스 장마철 산업재해 발생 현황

3) 제조·서비스 장마철 위험요인별 안전관리

4) 제조·서비스(50인 미만) 사업장에서 꼭 해야하는 안전활동

5) 장마철 안전보건 자료

6) 부록. 사업장 자체점검표




<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예방, 3대 기본수칙 >

물, 그늘, 휴식 열사병 예방 3대 기본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업종별 안전보건 가이드 >

1) 숙박업

2) 음식점업

3) 경비·청소

4) 벌목업







< 50인 미만 중소사업장을 위한 중대재해처벌법 바로 알기 >

1)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기

2)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행하기

3) [참고]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 대진단 상담지원센터




< 2024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위탁) 안내서 >

1) 안전보건관리체계

2) 사업추진방법

3) 회차별 수행내용 및 양식

4) 참고자료




< 중대재처벌법 준수를 위한 중소기업 실무 안내서 >

1) 한눈에 보는 중대재해처벌법

2) 우리 회사의 중대재해 예방수준은?

3) 중대재해 예방에 꼭 필요한 10가지(OPS)




< 2024년 산업안전 대진단 설명자료 >

1) 산업안전 대진단이란?

2) 산업안전 대진단 세부 내용

3) 산업안전 대진단 참여 방법

4) 산업안전 대진단 협조 사항





<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감독자 선임 의무, 업무, 교육 안내 >

: 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의 핵심 인력인 관리감독자의 선임 의무 및 업무 등에 대한 안내


                                                                    본문 확인  



< 상하차 작업 및 적재 화물의 위험요인_위험성평가 예시 >

: 사망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작업, 상황 및 재해유발요인으로 "상하차 작업 및 적재된 화물" 관련 고위험요인과 위험성평가 예시 안내


                                                                    본문 확인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의무, 업무, 직무 교육 안내 >

-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역할, 업종 및 상시근로자 수에 따른 선임 의무 안내


                                                                   본문 확인  



< 사업장 비상상황 대비 가이드 라인 >

1) 비상상황이란?

2) 비상상황 대응 준비 사항

3) 중대산업재해 대비를 위한 필수 사항

4) 비상상황 대응을 위한 교육 및 훈련방법

별첨) 응급처치 방법




 
 
 

댓글


노무법인 하임인사컨설팅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수14로 68 센타타워 608-609호  Tel. 1533. 3978.   Fax. 070. 7614. 3975.   Email. smh@heimhr.com

​경기도 화성시 동탄순환대로 830 SKV1센터 1919호 

Copyright ⓒ 노무법인하임인사컨설팅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